경제재태크

한국 미국 고금리 정책 상당기간 지속, 23년 한국 경기 침체 필연적, 주식, 부동산 폭락 가능성 높다.

소피스트박 2022. 10. 20. 08:20
반응형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9월에 예상보다 높은 8.2%로 나타나면서
Fed는 자이언트 스텝을 할 가능성은 더 높아졌다.
문제는 고금리를 얼마 동안 지속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과거 연준의장을 맡았던, 볼커는 인플레이션이 꺾이자, 금리를 내렸다.
그러나 착각이었다. 다시 인플레이션이 살아나는 "볼커의 실수"가 과거 1980년도에 있었다.
즉, 볼커의 실수란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으로 잡히자, 다시 금리를 내리니까, 다시 물가가 상승하여
상당기간 다시 고금리를 유지한 것이다.

그래서 파월은 볼커의 실수를 재현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비록 가계와 기업이 고통을 당하더라도, 고 금리를 상당기간 유지할 것이다.


볼커는 1980년 7월 9%대이던 금리를 1981년 6월 19%대까지 급격히 끌어올렸다.
고금리 긴축정책의 효과로 소비자물가는 3년 만에 처음으로 10%대 이하로 떨어졌다.
볼커는 쉽게 금리를 내리지 않았다.
결과적으로1980년 중반에 물가상승률이 3-4% 중반으로
떨어졌지만 볼커는 고금리를 유지했다고 한다.

이 의미는 최소한 3년 정도의 고금리가 유지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파월은 볼커의 실수를 교훈삼아 시장에 확실한 신호를 줄 것이다. 물가가 잡히더라도
상당기간 고금리를 유지해야 된다는 것을 볼커의 실수로부터 배운 것이다.

미국의 목표 물가는 2%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도 기준금리는 연동되며,
미국이 상당기간 고금리를 유지하면 한국도 그에 준하여 고금리를 상당기간 유지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환율로 고환율이 유지될거며, 미국의 경기 침체가 필연적이면,
한국도 예외없이 경기 침체가 올 것이다. 불안을 조장하는 게 아니다.
항상 최악의 상황을 대비한 여러 시나리오를 대비해야 한다.

그러나 미국은 10년 물 국채금리를 방어하는 수준으로 재무부에서 바이백 한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그 이상일지는 알수 없다.
일부 상황이 2007년과 흡사하다고 한다.
2023년은 세계 경기 침체와 고금리 그로 인한 서민경제는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다.
더불어, 주식과 부동산은 더욱 어려운 한해를 보낼 것이라는 합리적 추론을
해볼 수가 있다.

[전자책] 전자책을 하나 출간 했습니다. 대구 아파트 분석(수성구, 중구, 달서구 중심) 매수후보리스트 관심 있으신 분은 참고하세요

https://kmong.com/knowhow/gig/413599

대구 부동산 분석 매수 후보 리스트 | 10000원부터 시작 가능한 총 평점 5점의 전자책, 투잡·재테

16개 총 작업 개수 완료한 총 평점 5점인 소피스트박의 전자책, 투잡·재테크 전자책 서비스를 16개의 리뷰와 함께 확인해 보세요. 전자책, 투잡·재테크 전자책 제공 등 10000원부터 시작 가능한 서

kmong.com

반응형